세종의 명으로 명나라의 앞선 천문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사신단에 합류했던 장영실은 함께 명을 받았던 장희제의 배신과 그를 제거하려는 사대부 세력의 위협을 받아야 했다. 이 위기에서 장영실은 천문연구에 관심이 많은 명나라 황족 주태강을 만나게 되고 그의 천문 기구의 정상 작동을 도왔고 그를 구명하기 위해 명나라로 온 이천과 함께 정적들의 기습에서 주태강을 구하며 그의 신뢰를 얻었다.
주태강은 장영실의 능력을 크게 인정했고 장영실의 안전을 물론이고 조선 사신단이 임무를 무사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왔다. 아울러 장영실은 주태강으로 부터 과거 원나라 시절부터 전해오던 천문 연구 자료를 받게 된다.
이는 조선의 독자적 천문 연구를 위한 소중한 자료였다. 이런 장영실의 눈부신 성과와 대조적으로 장영실 제거에 일조했던 장희제는 양심과 장영실에 대한 시기심 사에 고민하다 죄인이 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장영실의 도움으로 조선으로 돌아올 수는 있었지만, 장영실에 대한 열등감은 그를 계속 괴롭혔다. 장희제로서는 노비 출신 장영실이 자신보다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기 어려웠다.
이렇게 장영실과 장희제의 처지가 엇갈린 가운데 장영실은 사신단과 함께 조선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명나라에서의 그의 활약은 상당한 포상이 예상되는 일이었다. 평소 장영실의 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던 세종은 장영실의 면천과 관리 등용을 명했다.
하지만 대신들의 반대가 상당했다. 평소 노비 출신 장영실이 임금과 가까이 지내는 것에 반대했던 대신들은 물론이고 그의 측근들조차 이에 반대했다. 도리어 대신들은 명나라에서 접근을 금하는 천문 관측소 사천대에 올랐던 장영실과 장희제를 비롯한 서운과 관리들이 죄를 물을 것을 주장했다. 대신들의 강력한 저항에도 세종은 장영실의 등용을 강행하려 했지만, 장영실의 조력자 이천조차 대신들의 주장을 따를 것을 세종에 간언했다. 이천으로서는 자칫, 장영실의 면천과 관리 등용을 강행할 경우 이에 대한 역풍이 상당할 것을 우려했다. 2보 전진을 위하 1보 후퇴였다.
결국, 장영실은 장형에 처해졌고 노비 신분은 여전했다. 대신 세종은 장영실에게 은밀히 조선의 천문 관측소를 설치하고 천문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것을 명했다. 이천 역시 서운관의 뜻있는 관리들과 힘을 합쳤다. 그곳에서 장영실은 조선의 간의와 관측기구를 만들어냈다. 이는 중국의 역법에 의존해야 했던 조선의 도자적 역법을 만들고 천체관측 등의 표준을 만들기 위한 첫 발걸음이었다. 장영실은 그 중심에 있었다.
이렇게 장영실은 역사의 중심 인물로 자리했지만, 그를 향한 양반 사대부들의 시기와 견제는 한층 더 강해졌다. 특히, 격물 즉, 과학 진흥에 관심이 큰 세종의 행보에 반감이 있던 양반 사대부들의 반발은 더 극심했다. 사대를 하는 명나라의 비위를 거스를 수 있는 이 행보가 조선의 안위를 위협할 수 있고 노비 출신 장영실의 중용은 신분제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논리였다. 이들의 움직임은 조직적인 반대로 더 확대됐다.
세종은 이런 움직임을 알고 있었지만, 이들을 힘으로 누르기보다는 과학 연구의 성과를 통해 설득하려 했다. 마침 상왕으로 물러나 그를 배후에서 돕던 태종 이방원의 승하는 이런 그의 생각을 더 강하게 했다. 하지만 대신들은 세종의 뜻과는 달리 성리학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이는 세종이 추진하는 천문 프로젝트의 중심, 장영실에 대한 공격이 더 극심해질 것을 예고하고 있다. 여기에 그를 돕는 소현옹주와의 로멘스가 본격화된다면 장영실은 더 큰 어려움에 처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어려움에도 장영실은 지원하는 세종의 뜻은 확고하고 장영실 또한 천문연구에 대한 의지가 강한 상황임을 고려하면 조선만의 천문 연구는 그 속도를 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백성들의 삶을 보다 더 윤택하게 하려는 세종의 의지는 점점 현실이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그에 비례해 더 극심해질 반대세력들의 저항은 세종과 장영실이 가고자 하는 길에 큰 장애물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아직은 조선만의 천문 프로젝트 진행이 쉽지 않아 보인다.
사진, 글 : 심종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