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February 4, 2016

[장영실 9, 10회] 계속되는 생사의 고비, 멈춤 없는 신기술 열망





태종과 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세종으로부터 재주를 인정받은 장영실이었지만, 노비의 신분은 벗을 수 없는 굴레였다. 하지만 장영실은 이 굴레에서 벗어나려 애쓰기 보다 자신의 능력을 더 나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 쓰기로 결심했다. 그는 맞은 봐 소임에 온 힘을 다했다. 


이런 장영실을 신뢰하고 있던 세종은 그에게 큰 임무를 맡겼다. 그는 서운관의 책임자 장희제와 더불어 명나라 사신단에 참가해 명나라의 앞선 천문 기술을 보고 배우도록 했다. 세종은 이를 바탕으로 조선만의 천문관측 기술을 발전시키고 더 나아가 조선의 역법을 만들려 했다. 이전 중국의 역법에 의존한 천문관측이 나라 실정과 맞지 않는 현실을 안타까워한 세종의 마음이 담긴 일이었다. 


하지만 이는 큰 위험이 따르는 일이었다. 명나라는 천문기술의 대외 유출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었다. 특히, 장영실과 장희제가 살펴야 하는 천문대는 출입 자체가 원천 봉쇄된 곳으로 출입이 발각될 경우 목숨까지 위태로운 일이었다. 자칫 외교적 문제로도 비화할 수 있는 일이기도 했다. 장영실로서는 꿈에 그리던 명나라 행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자신의 안위를 보장할 수 없었다. 


이런 위험과 더불어 장영실에 대한 조정 대신들의 극심한 견제 또한 그에게는 큰 위협이었다. 성리학을 기본 이념으로 하는 조선에서 노비 신분인 장영실의 왕의 신임을 얻어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하고 정부기관에 소속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여기에 세종이 장영실의 능력을 높이 사 그를 면천시키고자 하는 계획까지 알려지면서 반발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 







여기에 명나라에 대한 사대관계 유지를 외교정책의 중요 골자로 하고 있던 조선에 있어 명나라의 심기를 거스를 수 있는 독자적 천문연구와 조선만의 역법을 만들는 일은 조정대신들에게 용납될 수 없는 일이었다. 세종의 그 프로젝트의 중심에 있었던 장영실에 대한 조정대신들의 시선이 고울 리 없었다. 만약 장영실이 면천되고 조정의 요직에 등용된다면 양반 사대부들 전체에도 큰 위협이 될 수 있었다. 


이는 세종의 격물을 중심하는 실용주의 정책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규합시키고 조직적인 저항을 불러왔다. 그들은 세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기도 했고 거사를 모의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나라의 기틀이 잡혀가던 조선에 또 다른 위험요인이었다. 세종은 이런 움직임을 알고 있었지만, 반대파들에 대한 숙청보다는 정책의 성공을 통해 이들을 설득하려 했다. 장영실의 명나라 행은 세종에게는 중요한 일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세종의 큰 기대속에 명나라를 사진단에 참여한 장영실이었지만,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명나라 천문대를 몰래 살피려는 계획은 명나라 조정의 권력암퉁에 휘말리며 좌절됐고 평소 그를 시기하던 장희제의 배신으로 장영실은 큰 위험에 빠지고 말았다. 그 과정에서 장영실은 기대했던 중국 천문 관측장비가 실물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가까스로 위험에서 벗어난 장영실이었지만, 그의 안전이 보장된 건 아니었다. 장영실은 그를 위험에서 구해준 명나라 황제의 측근 주태강의 저택에 갇히는 처지가 됐다. 그곳에서 장영실은 수 백년전 소실된 것으로 알려진 수운의상대를 다시 제작하는 현장을 발견하게 된다. 주태강은 장영실에게 수운의상대의 제작을 완성할 것을 명했다. 장영실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장영실은 위기를 긍정적 사고로 극복했다. 장영실은 작업과정에서 천문관측 기구의 제작 비밀을 알게 되는 성과를 거뒀다. 장영실의 손길로 수운의상대는 제 모습을 찾아갔다. 장영실의 재능에 주태강 역시 탐복하며 그를 도왔다. 하지만 장영실에 대한 위험이 사라진 건 아니었다. 장영실 제거에 실패한 장희제는 그와 결탁한 주태강의 정적인 환관 윤봉의 명에 따라 장영실과 주태강을 암살하기 위해 그의 저택을 찾았다. 하지만 그의 계획은 이루어지 않았고 장희제는 오히려 장영실과 함께 수운의상대 제작을 하게됐다. 장영실은 장희제의 배신에 분노했지만, 당장 위험을 넘어서기 위해 그의 손을 잡았다. 장희제 역시 그와 장영실에 대한 세종의 신뢰와 장영실을 제거해야 하는 또 다른 임무 사이에서 갈등하면서도 수운의상대 제작에 열중했다. 


이들의 노력으로 수운의상대는 완성단계가 들어갔다. 마침 세종의 친서가 주태강에 전달됐고 주태강은 약속대로 장영실과 장희제를 조선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했다. 장영실은 조선만의 천문관측 기구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으로 조선으로 향할 수 있게 됐지만, 주태강을 제거하려는 명나라 환관 윤봉의 계략에 장영실 일행은 다시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다시 커졌다. 게다가 장희제 역시 나쁜 마음을 완전히 접지 않고 있다는 점은 아직 장영실의 조선행이 쉽지 않을 것을 예고하고 있다. 


장영실이 세종의 뜻에 따라 조선으로 돌아가 조선만의 천문 관측기술 발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아직은 그에 대한 검은 그림자가 완전히 걷히지 않고 있다. 


사진. 글 : 심종열 

No comments:

Post a Comment